전체 글 77

토비의 스프링 용어 정리

요즘 공부 하고있는 책인데 내용이 제 수준에서는 어려웠습니다. 읽다가 집중력 깨지는 순간이 많아서 왜그런가 생각해보니 아무래도 모르는 단어나 알고는 있지만 내 머릿속에서 명확하게 정의가 되지 않은 용어들이 많기 때문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무래도 용어관련 부분에서 한번 정리를 하고 넘어가야 할 것 같아서, 제 기준으로 몰랐던 용어나 익숙하지 않은 용어를 정리해서 올립니다. 1부(1~8장)의 용어들을 정리하였고, 최대한 책의 나오는 개념 설명으로 용어를 정리하였습니다.단, 7~8장의 경우 그런 단어가 없었기 때문에 따로 정리하지 않았으니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1장 - 프레임워크 API라는 점에서 라이브러리와 비슷하지만, 라이브러리가 코드에 의해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거라면 프레임워크는 개발 자체를 주도..

[토비의 스프링] 1장 정리

안녕하세요. 최근에 회사에서 스프링을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일이 생겨서 공부해볼 생각에 괜찮은 책을 찾아봤는데 토비의 스프링이란 책을 찾게 됐습니다. 스프링공부를 제대로 해본적이 없어서 전혀 모르고 있었는데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정석 같은 책이더군요. 책을 읽으면서 내용이 좋다란 느낌을 받아서 그냥 단순하게 독서와 타이핑으로 공부하기보단 내용을 정리해서 블로그에 올리자란 생각이 강하게 들어서 한장 한장 정리해볼 생각입니다. 1~8장 까지가 스프링에 관한 개념적인 내용을 정리한 것이고, 그 이후의 내용은 실사용이란 얘기를 들어서 1~8장 까지만 정리 할지 아니면 그 이후도 정리 할지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1장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자, 시작하기 전에 프레임워크란게 뭔가를 일단 정리하고 들어가야 할 ..

리눅스 명령어 정리

안녕하세요 ㅎㅎ 프로젝트가 바빠서 한동안 정신 없다가 오랜만에 들어오네요 운영체제 내용 올리던걸 마무리도 못하고, 갑자기 리눅스에 관한글을 올리게 됐네요. 이처럼 인생은 알수 없는건가 봅니다. 오늘 쓰는글은 리눅스에서 주로쓰는 명령어들을 정리할겁니다. 1) ls : List의 약자 입니다.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 목록을 나열해 줍니다. - 사용방법 및 주로 사용하는 옵션# ls /etc/systemd : 해당 디렉터리의 파일 목록을 보여줍니다.# ls -a : 현재 디렉터리의 숨김 파일까지 포함하여 보여줍니다.# ls -l :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을 자세히 보여줍니다.# ls *.확장자 : 확장자에 해당하는 목록만 보여줍니다. 2) cd : Change Directory의 약자입니다. 디렉토리로 이동..

OS 관련/리눅스 2018.10.19

인터럽트의 종류

안녕하세요. 또 운영체제로 찾아뵙게 됐네요.. 어제 글을 썻는데 오늘 또 글을 쓰다니 갑자기 제가 부지런해진것 같아서 새삼스럽게 뿌듯한 느낌이 듭니다. 어제 술마시고 글써서 오늘은 멀쩡한 정신에서 쓸려고 노력했는데 저도 모르게 간단하게 한잔 해버렸네요.. 타지에 와서 혼자 살다보니 술말고는 끌리는게 없고 그렇습니다. 그러니까 별로 들어오지도 않는 방문객 들이지만 이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제 본론으로 돌아가서 운영체제의 가장 중요한 핵심 인터럽트. 그 종류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려고 합니다. 크게 세 종류라서 많은 이야기가 나오지는 않겠지만 그래서 그런지 글쓰는 입장에서는 마냥 좋네요. 1) 외부 인터럽트 - 첫 번째로 이야기 할 것은 외부 인터럽트 입니다. 지난 시간에 예로들었던 마우스에서 발생..

인터럽트 기반 운영 체제

안녕하세요. 운영체제에서 두번째 글을 쓰게 되네요. 첫번째 글도 제대로 마무리 짓지 못했는데 다음글을 쓰려니 기분이 묘하네요 ㅎㅎ원래 무언갈 마무리 짓는다는 것은 그것과 이별하는 느낌이라 슬퍼서 그런가 봐요..이 이별을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 성장했을때, 첫번째 글을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의 주제는 인터럽트 기반의 운영체제 입니다. 현대의 운영체제는 대부분이 인터럽트 기반의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이 인터럽트가 뭔지 부터 정확히 하고 넘어가야 할것 같네요. 인터럽트(interrupt) 방금 구글에서 검색해서 가져온 위키백과의 따끈따끈한 PNG 파일 입니다.역시 위키백과답게 어렵게도 써놨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인터럽트란 가로채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외부적이든 2)소프..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등장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무엇인지 알기전에 어떻게 해서 객체지향이란 개념이 생겨났는지 부터 이야기 하겠습니다. 처음의 프로그램들은 객체지향적이 아닌 절차지향적인 방식으로 짜여져 왔습니다. 하지만 하드웨어가 발전하며 더욱 큰 크기의 프로그램들이 하드웨어 위에 올라갈 수 있게 되었고, 그로인하여, 코드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그 양은 방대해지게 됩니다. 여기서 문제는 절차지향은 컴퓨터의 처리방식이 중점인 프로그래밍 방식이여서, 코드가 위에서 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쓰여져가고, 프로그램 자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코드가 복잡해짐에 따라 코드를 봤을때 파악하기 힘들고 심지어 코드를 짠 본인 마저도, 프로그램의 보완이나 유지 보수가 무척이나 어려워 진다는 것 이었습니다. 객체지향은 ..

운영체제(OS)의 정의/목적

정의 운영 체제란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RAM, 하드디스크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 하게 해주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주는 프로그램들의 모임을 의미합니다. 목적 1)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 인터페이스 : 인터페이스의 의미는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는 통로 같은 것이라 생각 하면 됩니다. 하지만, 모든 정보를 다 교환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에게 필요한 부분만을 교환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서 A라는 사람과 B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A라는 사람은 한 아내의 남편이며, 두 아이의 아버지 이고 B가 사장으로 있는 회사의 프로그래머 입니다. 이처럼 A라는 사람에게는 여러가지 역할이 있지만, B에게는 이 중 회사의 프로그래머 역할외에는 큰 의미가 없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