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4

개발자가 영어도 잘해야 하나요? - 개발자 영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불규칙 동사

앞의 글에서 소개한 내용과 같이 제가 요즘 읽고 있는 책인 "개발자가 영어도 잘해야 하나요?(최희철 작가)" 란 책의 개발자 영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불규칙 동사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해당 책은 전체 내용을 정리할 생각은 없고 "Chater1" 의 내용만 정리할 예정입니다.개발자에게 꼭 필요한 영어 표현들 및 관련 사용 예제들이 잘 정리되어 있어, 관심 있는 분들께는 구매해 소장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아래는 책의 동사 부분입니다.(예문은 제가 직접 추가하였고 카테고리를 분류한 내용입니다.)개발자 영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불규칙 동사1. 데이터 처리 및 작업 뜻현재형과거형과거완료형예문자르다CutCutCutCut the dataset into smaller chunks for processing.찾다FindF..

카테고리 없음 2025.04.22

개발자가 영어도 잘해야 하나요? - 개발자가 자주 사용하는 동사

이번 글에서 소개할 내용은 제가 요즘 읽고 있는 책인 "개발자가 영어도 잘해야 하나요?(최희철 작가)" 란 책의 개발자가 자주 사용하는 동사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해당 책은 전체 내용을 정리할 생각은 없고 "Chater1" 의 내용만 정리할 예정입니다. 개발자에게 꼭 필요한 영어 표현들 및 관련 사용 예제들이 잘 정리되어 있어, 관심 있는 분들께는 구매해 소장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아래는 책의 동사 부분입니다. (예문은 제가 직접 추가하였고 카테고리 분류와 일부 단어도 추가한 내용입니다.)개발자가 자주 사용하는 영어 동사1. 데이터 처리 및 변환동사뜻예문Analyze분석하다Analyze the dataset to identify trends.Convert변환하다Convert the JSON string..

독서 정리 2025.04.22

GPT 에게 물어본 나

최근 유튜브에서 쇼츠 영상을 보다가 아래와 같은 영상을 봤습니다."내가 너와 상호작용한 모든 내용을 바탕으로 내 사고 패턴과 의사 결정 방식, 무의식적인 편향,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약점'이나 맹점'을 상세히 분석해줘. 그리고 각 항목에 대해 나에게 필요한 조언을 구체적으로 적어줘. 5000자 이상" 예전에 지피티한테 나에 대해 말해줘라는 질문이 유행이였던 적이 있었는데 그때 보다 좀 더 디테일한 질문이 유행하나 보다란 생각과 함께 나도 해봐야겠다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모델은 o3 를 통해서 질문했는데 유료로 사용한 기간이 2년이 넘다보니 꽤나 상세한 분석을 해주는것 같아서 아래처럼 공유해봅니다.1. 사고 패턴 전반특징구체적 관찰필요한 조언체계화 지향문제를 단계별로 쪼개고 “정답 → 피드백 → 다음 ..

잡담 2025.04.22

Intellij 자주 쓰는 단축키 정리

코드 탐색Ctrl + B : 선언부로 바로 이동Ctrl + Alt + B : 구현부로 바로 이동Alt + F7 : 해당 요소가 사용된 모든 위치 찾기Ctrl + F12 : 현재 파일 구조(메서드·필드 목록) 보기리팩토링Shift + F6 : 이름(변수·메서드·클래스) 일괄 변경Ctrl + Alt + L : 코드 자동 정렬·포맷팅Ctrl + Alt + O : 사용하지 않는 import 제거Ctrl + Alt + M : 선택 블록을 메서드로 추출Ctrl + Alt + V : 표현식을 변수로 추출Ctrl + Alt + C : 값을 상수로 추출멀티 편집Alt + J : 커서 위치 단어와 같은 단어 다음 찾기Ctrl + Shift + Alt + J : 같은 단어 전체 선택Ctrl (한 번) + ↑/↓ : 여러 줄..

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 2부

예전에 읽었던 『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이라는 책의 2부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내용 전체를 모두 담지는 못했지만, 저에게 특히 도움이 되었던 중요한 부분들은 최대한 자세히 담았습니다. 이 책은 미루는 습관을 고치기 위한 심리학적 접근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단순히 "하라"는 식의 조언 대신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전략을 제시합니다. 아래는 책의 4장, 7장, 8장, 9장, 10장의 핵심 내용을 가독성 있게 정리한 글입니다. 미루기와의 싸움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얻고 싶은 분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4장. 미루기 극복을 위한 접근법두 달이면 미루는 습관을 고칠 수 있을까?미루는 습관을 고치는 데 즉효약은 없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는 데 평균 66일이..

독서 정리 2025.04.11

템플릿 메서드(Template Method) 패턴을 알아보자

템플릿 메서드(Template Method) 패턴이란 무엇인가? 복붙을 많이하는 프로그래밍의 특성상 코딩을 하다보면 아래의 예시처럼 동일한 코드가 특정한 부분을 빼고 똑같이 반복되는 결과물이 나온적이 한번씩 있을거라 생각합니다.void method1() { System.out.println("동일한 코드 A"); System.out.println("method1만의 코드"); System.out.println("동일한 코드 B");}void method2() { System.out.println("동일한 코드 A"); System.out.println("method2만의 코드"); System.out.println("동일한 코드 B");}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동..

코루틴은 정말 멀티 스레드 보다 가벼울까?

코루틴의 경량성을 실험하게 된 계기코틀린을 써보기도 전에 많이 듣던 얘기는 코틀린의 코루틴이 좋다는 이야기였습니다. 그런 이야기를 늘으니 문득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얼마나 좋길래 이렇게 유명하지?!아무래도 궁금하다면 직접 테스트해보는 게 가장 좋지 않을까란 생각에 직접 멀티스레드와 비교해보면서 테스트 해보려 합니다.코루틴이 코틀린 말고도 다른 언어에서도 지원하는 기술자체의 명칭이란 건 나중에 알게 되었습니다;; 물론 코틀린은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가 아닌 언어 차원에서 지원한다는 차이점이 존재하긴 합니다.멀티스레드 VS 코루틴비교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코루틴과 멀티 스레드 모두 사용 가능한 모든 스레드를 사용한다.멀티스레드와 코루틴 모두 1만 개의 작업을 생성한다.하나의 작업당 0.01초의 Sleep을..

개발언어/Kotlin 2025.04.09

개발자로서의 마지막을 생각하며.

한동안 방치했던 블로그를 다시 시작해볼까 합니다. 최근 내수 시장의 침체와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신입 개발자들이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 경력을 쌓은 개발자라 할지라도 최상위 수준의 실력을 갖추지 않으면 앞으로 살아남기 어려운 시대라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Cursor IDE에 MCP까지 결합해 사용해보면서, 개발 환경이 얼마나 급격히 진화했는지 몸소 느끼고 있습니다. 몇 년 전만 해도 사람이 직접 고민하고 오랜 시간 투자해서 해결해야 할 것들을, 이제는 AI가 너무나도 자연스럽고 빠르게 대신해주고 있는 현실이 놀랍기만 합니다. 이런 변화 앞에서 처음엔 '더 노력해서 상위권 개발자가 되자'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내 'AI가 이렇게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데, 그 ..

잡담 2025.04.09

[C#][Razor] @inject 지시문

@inject 지시문이란? @inject 지시문은 .razor 확장자로 만든 razor파일에서 종속성을 주입받기 위해 사용됩니다.해당 인터페이스(서비스 유형)등을 변수(속성)로 선언해서 사용할수 있게 해준다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즉, razor 페이지에서 사용할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 사용하는것이 @inject 지시문 입니다.기본 사용법@inject 유형 속성유형 : 주입할 서비스의 유형입니다.속성 : 주입된 앱 서비스를 받는 속성의 이름입니다. 변수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메뉴얼에서는 속성을 생략하더라도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속성을 만들어준다고 하는데 어떤 이름으로 만들어주는지는 나와있지 않아서 해당 내용은 생략하겠습니다.예제@page "/customer-list"@using Services..

개발언어/C# 2020.09.16

[리눅스] nohup 명령어

nohup 명령어는 리눅스/유닉스에서 쉘 스크립트 파일을 데몬 형태로 실행시키는 명령어 입니다.* no hangups의 줄임말 입니다.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사용되는 명령어로 그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쉘 스크립트의 표준 출력을 nohup.out으로 남기는 기능.2. 프로세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백그라운드로 작업을 수행 (터미널과의 연결이 끊켜도 계속해서 프로세스가 동작합니다). 1$ nohup java -jar test.jar & 만약 위와같이 jar파일을 nohup 명령어로 실행하는 경우, 해당 jar 파일이 실행 위치에서 nohup.out이라는 파일에 로그를 남기며,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게 됩니다.

OS 관련/리눅스 2020.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