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 3

AI 웹소설 - AI 에게 웹소설을 써달라고 부탁해보았다.

평소 취미가 웹소설을 읽는 것인데, 예전에 AI가 웹소설을 어느 정도 수준으로 쓸 수 있을까 궁금해서 실험을 해본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때는 실망스러운 결과물을 받았습니다. 최근 다양한 AI를 사용하며 각각의 강점이 다르다는 걸 체감하면서, 이 강점들을 조합해 웹소설을 써보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직접 AI에게 명령을 주며 결과물을 얻어보니, 단일 AI로 작성했을 때보다 확연히 나은 결과물이 나왔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 실험 과정을 블로그에 공유하고자 합니다.실험 개요목표: AI 도구들의 강점을 활용해 웹소설 1화를 완성하기활용 AI: Claude, GPT-4, Gemini, Grok소요 시간: 약 2시간단계별 진행 요약AI로 진행하는 실험이니만큼, 진행 방식도 AI에게 맡겨보자는 생각으로 Clau..

IT 관련 기타/AI 2025.05.15

JVM 가비지 컬렉션: 객체 생사 판단과 메모리 정리 알고리즘

JVM(Java Virtual Machine)은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을 수행합니다. 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객체를 찾아 메모리를 회수하는 과정입니다. 해당 글에서는 JVM이 객체의 생사를 판단하는 방법과 메모리를 정리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합니다.1. 객체의 생사 판단JVM은 프로그램에서 더 이상 참조되지 않는 객체, 즉 '죽은' 객체를 식별하여 정리 대상으로 지정합니다. 이를 판단하는 두 가지 주요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습니다.1.1 참조 카운팅 (Reference Counting)설명: 각 객체에 참조 횟수를 기록하는 카운터를 유지합니다. 객체가 참조될 때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참조가 끊기면 감소시킵니다.판단 기준: 카운터가 0이 되면 해..

개발언어/Java 2025.05.14

JVM 메모리 구조

자바 가상 머신(JVM)은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자바 개발자는 메모리 관리를 직접 하지 않아도 되지만, 메모리 누수나 오버플로 같은 문제가 생기면 JVM의 작동 방식을 알아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JVM이 메모리를 어떻게 나누고 사용하는지 설명합니다. JVM은 메모리를 두 가지로 나눕니다:스레드마다 따로 가지는 영역 (스레드 프라이빗)모든 스레드가 함께 사용하는 영역각 영역의 역할과 특징을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1. 스레드마다 따로 가지는 메모리 영역스레드마다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은 각 스레드가 작업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다른 스레드와 간섭 없이 안전하게 관리됩니다.1) 프로그램 카운터 (PC 레지스터)역할: 현재 스레드가 실행 중인 명령어의..

개발언어/Java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