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7

[리눅스] vim 단축키 정리

명령상태에서 이동키 h : 왼쪽으로 커서 이동j : 아래쪽으로 커서 이동k : 위쪽으로 커서 이동l : 오른쪽으로 커서 이동 편집기 종료 관련 :q : 편집기 종료 하기(수정된 내용 있을 시 에러):q! : 수정된 내용 저장하지 않고 종료하기.:wq : 수정된 내용 저장하고 종료하기 텍스트 삭제 관련 x : 현재 커서 위치 텍스트 삭제하기 dw : 단어 삭제하기(공백 포함)de : 단어 삭제하기(공백 미포함)d$ : 현재 커서 위치부터 라인 끝까지 텍스트 삭제dd : 줄 전체 삭제하기 삭제에 횟수 포함하기 [횟수] d 대상 또는 d [횟수] 대상 횟수 - 명령을 몇 번 수행할 지 (옵션, 기본값=1). d - 지우는 명령 대상 - 아래에 제시된 대상에 대해 명령을 수행 적용 가능한 대상의 종류: w - ..

OS 관련/리눅스 2019.11.21

C# IBatis.Net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C#에서 IBatis를 적용하려고 하던 중 마음에 드는 글이 없어서 직접 정리하려고 합니다. iBATIS 다운 iBatis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을 예정입니다. 공식 홈페이지가 아니라 NuGet을 통해서 다운이 가능하긴 하지만 iBati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LL 이외에도 몇몇 설정 파일이 필요한데 이 설정 파일이 공식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은 압축 파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샘플 코드도 같이 다운받을 수 있게 되어있는데 저는 이 샘플코드를 활용해서 이번 포스팅을 진행해 나갈 생각입니다. 다운로드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URL : https://code.google.com/archive/p/mybatisnet/downloads 해당 URL에 접속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개발언어/C# 2019.11.20

[일상글]MacOS에서 '매직키보드2'를 대체할 '해피해킹 프로2' 1일차 사용기

구매이유 맥에서 매직키보드2 를 사용하던중 매직키보드2의 후진 키감과 사용의 불편함에(Mac의 공식 악세사리는 예쁜 쓰레기 입니다.) 날로 불만이 커져 가다가 새로운 키보드를 구매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매직마우스2(역시 예쁜 쓰레기 입니다...)의 경우 사용에 대해 불만이 터지는데 걸린 시간이 1달도 채 걸리지 않았는데 매직 키보드의 경우 1년 가까운 시간동안 사용하였으니, 그래도 매직마우스에 비하면 매직키보드는 착한 쓰레기입니다. 구매 키보드 후보 처음 키보드를 구입하자고 생각하면서 처음으로 후보에 올랐던 키보드회사는 로지텍 이였습니다. 로지텍을 생각한 첫번째 이유는 맥에서 패래럴과 팀뷰어를 통한 윈도우 사용이 잦았는데 그런 이유로 맥과 윈도우의 호환이 좋은 키보드 였는데 로지텍에 그런 용도의 키보드가..

이것 저것 2019.11.19

윈도우10 멀티 데스크탑 사용 및 단축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10 에서 새로 생긴 기능인 멀티 데스크탑의 단축키 및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존엔 화면을 분할해서 쓰는 장점을 몰랐었는데 최근 맥을 쓰면서 분할 화면을 쓰면서 그 장점이 크게 느껴져서 윈도우에서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딱히 설명이 필요없는 기능인 만큼 단축키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축키 정리 화면 추가 : Ctrl + window + D 현재 화면 닫기 : Ctrl + Window + F4 화면 이동 : Ctrl + 좌우 방향키 전체 화면 보기 : Ctrl + Tab 이 외에도 몇가지 키가 더 있지만 실제로 이 4가지 키만 가지고 있으면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으므로 이정도만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이것 저것 2019.11.11

[SVN][이클립스] 이클립스에서 svn 브랜치 생성

이번 포스팅은 이클립스에서 SVN의 Branch를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할 생각입니다. 브랜치는 아시다시피, SVN으로 버전 관리를 할 때, 기존의 프로젝트를 그래도 두고 다른 위치에 같은 프로젝트를 생성 후 그 장소에서 버전관리를 진행하는것인데 이러한 행동을 하는 이유는 프로젝트에 큰 규모의 업데이트가 진행될 시 기존의 소스를 안전하게 보존하고 업데이트를 진행후 문제여부를 확인하고, 문제가 없을 시 다시 기존의 프로젝트와 합치는 방식의 버전관리 방법입니다. 간단한 소개가 끝났으니 이제 브랜치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브랜치 생성 방법 일단 현재 svn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우클릭 아래 사진처럼 [team] - [Branch..] 를 선택합니다. 다음처럼 창이 나타나면 'Branch :' ..

[MSSQL] CASE문 사용법

CASE 문은 특정 컬럼의 내부의 값이 어떠한 값인지에 따라 결과 구문을 정할 수 있는 문법입니다. 해당 문법을 어디에 사용하느냐에 따라 SELECT문 혹은, INSERT, UPDTE문 등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가능합니다. 문법은 CASE [컬럼명] WHEN 조건1 THEN 조건1이 참일때 값 WHEN 조건2 THEN 조건2가 참일때 값 ... ELSE 조건중에 참이 없을 때 값END 위과 같은데 위의 [컬럼명]은 필수 값이 아니며, [컬럼명]의 사용여부에 따라 CASE 문의 사용법이 두가지 방법으로 나뉘는데 첫번째는 컬럼을 WHEN 구절 이전에 미리 선언하는 방식, 두번째는 WHEN구절 이후에 지정하는 방식입니다. 컬럼을 미리 선언하는 방식 해당 방식은 컬럼을 미리 선언해두어 반복되는 컬럼 명을 없애 코..

DB/MSSQL 2019.10.29

[Mac] 특정 포트 종료하기

가끔 톰캣을 사용하다 보면 톰캣을 종료할때 제대로 종료 되지 않아서 8080포트 혹은 지정해둔 포트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 맥의 터미널에서 해당 포트를 직접 종료해주어야 하는데 방법은 포트 번호를 통해 프로세스 번호를 찾은 뒤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해주는 방식이다. 즉 명령어는 [프로세스 번호 찾기] -> [프로세스 종료하기] 순으로 이어진다. 나의 경우 톰캣의 웹접속 포트를 8080으로 지정해두었기 때문에 8080포트를 종료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진행하겠다. 관리자 권환으로 진행하기 위해 명령어에는 sudo를 붙여준다. sudo lsof -I :8080 sudo kill -9 “프로세스번호” 위와 같이 진행하게 되면 해당 프로세스를 깔끔하게 종료하게 된다.

OS 관련/mac os x 2019.10.29

Java의 빌드툴로 Maven 사용 시 Junit의 scope 관련 에러

이번 포스팅은 Maven에 관한 내용입니다. pom.xml 파일에서 의존성의 주입 시 여러가지 속성들이 존재하지만 scope 속성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scope는 해당 의존성이 어떤 레벨에서 까지 영향을 미치지는지를 기술하는 속성입니다. 예를 들어서 실제 컴파일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테스트를 사용할 시에만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겠다. 이럴때 test라는 범위를 지정해주면 이 라이브러리는 실제 src/main의 영역에는 의존성이 추가되지 않고, src/test라는 영역에서만 의존성을 주입하게 됩니다. 이 포스팅은 이로인해 발생하는 에러때문에 작성되었는데,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svn에 의하여 버전관리되는 프로젝트에서 pom.xml 파일에 junit 관련 의존성 주입이 다음과 같이 되어 있는 상황이었고..

JAVA 지역 변수의 범위 최소화

이전의 정적 팩터리 부분에 이어서 effective java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C와 같이 역사가 깊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경우 지역 변수를 코드의 첫 블럭에 선언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전통이나 습관이 이어져서 자바에서도 코드의 첫 블럭에 지역변수를 선언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는 자바처럼 어디서든 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언어의 경우 좋은 습관이 아니다. 지역변수는 유효범위를 최소로 줄이면 변수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에 관한 장점이 크게 올라가는데 지역변수가 코드의 첫부분에 선언된것 만으로도 코드가 어수선해져 가독성이 떨어지게 된다. (변수를 실제로 사용하는 시점에서는 타입과 초깃 값이 기억나지 않을 수 있다.) 즉, 지역변수의 범위를 줄이는 가장 강력한 기법은 ‘가장 처음에 쓰일때 선..

[Mac] 특정 포트 종료하기

가끔 톰캣을 사용하다 보면 톰캣을 종료할때 제대로 종료 되지 않아서 8080포트 혹은 지정해둔 포트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 맥의 터미널에서 해당 포트를 직접 종료해주어야 하는데 방법은 포트 번호를 통해 프로세스 번호를 찾은 뒤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해주는 방식이다. 즉 명령어는 [프로세스 번호 찾기] -> [프로세스 종료하기] 순으로 이어진다. 나의 경우 톰캣의 웹접속 포트를 8080으로 지정해두었기 때문에 8080포트를 종료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진행하겠다. 관리자 권환으로 진행하기 위해 명령어에는 sudo를 붙여준다. sudo lsof -I :8080 sudo kill -9 “프로세스번호” 위와 같이 진행하게 되면 해당 프로세스를 깔끔하게 종료하게 된다.

OS 관련/mac os x 2019.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