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 3

NoSQL 빅데이터 세상으로 떠나는 간결한 안내서 - 어떤 상황에 어떤 NoSQL을 사용해야 할까?

지난 포스팅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한계와 NoSQL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습니다. 클러스터 환경에서의 확장성 문제, 객체-관계 불일치, 그리고 빅데이터 처리 요구사항들이 NoSQL 등장의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이제 중요한 것은 "NoSQL을 써야 한다"가 아니라 "어떤 NoSQL을 언제 써야 하는가"입니다. NoSQL은 하나의 기술이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 모델을 가진 여러 기술의 집합이기 때문입니다. '빅 데이터 세상으로 떠나는 간결한 안내서(NoSQL Distilled)' 책에서는 NoSQL을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과 적합한 사용 사례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 개발 현장에서 "이런 요구사항이 있을 때 이 NoSQL을 선택하면 좋다"는 관점에서 각..

독서 정리 2025.08.29

HTTPS 요청 처리 과정: 브라우저에서 서버까지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s://www.google.com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컴퓨터와 네트워크에서는 복잡한 처리 과정이 시작됩니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그리고 네트워크가 어떻게 협력하여 웹페이지를 안전하게 가져오는지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1단계: DNS 조회 -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하기 모든 것은 사용자의 키보드에서 시작됩니다. Enter 키가 눌리는 순간, 운영체제(OS)는 키보드로부터 전기적 신호(하드웨어 인터럽트)를 받아 현재 활성화된 프로그램, 즉 웹 브라우저에게 키 입력이 발생했음을 알립니다. 브라우저는 이 입력을 해석하고, 사용자가 'https://www.google.com'으로 이동하길 원한다는 것을 인지합니다. 하지만 컴퓨터는 'https://www.google.com..

NoSQL 빅데이터 세상으로 떠나는 간결한 안내서 - NoSQL 왜 등장했을까?

'빅 데이터 세상으로 떠나는 간결한 안내서(NoSQL Distilled)'라는 책의 내용을 정리해두는게 좋을것 같아 블로그에 포스팅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NoSQL 왜 등장했을까?어떤 상황에 어떤 NoSQL 을 사용해야하는가?로 나누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지배하던 시절 오랫동안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하면 당연히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를 사용하는 게 기본이었습니다.새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고민이라곤 어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쓸지 정도였죠. 회사에 이미 계약된 벤더가 있다면 그런 고민조차 필요 없었습니다.1990년대에 객체 데이터베이스가 잠깐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크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계속해서 독보적인 위치를 유지했죠.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오래 ..

독서 정리 2025.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