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0)
[IntelliJ][버그] IntelliJ jsp formatting 안녕하세요. intellij IDE 사용 중 JSP 파일을 자동정렬(Ctrl + Alt + L)시 발생한 문제입니다. 문제점 특정 파일에서 자동 정렬 시 코드가 위 사진과 같이 정렬이 안먹히고 모두 제일 앞에 표시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처음에는 특정파일에서만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지 모르고 전체 파일 모두 위와 같은현상이 발생하는지 알았습니다. 그래서 JSP 포맷팅 설정에 문제인줄알고 계속해서 검색해봤는데, 포맷팅 관련 설정을 찾아서 바꿔보아도 해결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던중 혹시 버그인가 싶어서 버그로 관점을 바꾼 결과 다른 분들도 저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분들이 있더군요. 그 결과 원인을 알아냈습니다. 해결 방법 위 문제는 JSP 파일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서 발생하였습니다. 저의 경..
[Android] 안드로이드 용어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개인적으로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리하기 위해 만든 포스팅입니다. 해당 포스팅은 용어정리할게 늘어날수록 계속해서 수정해 나갈 생각입니다. 상태바 상태바는 단말기 최상단에서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해주는 Bar입니다. 직접만든 모바일앱과는 무관하며 앱에서 해당 영역을 제어할수있는 범위도 제한적 입니다. 타이틀바 타이틀 바의 경우 자신의 앱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바입니다. 해당 Bar의 경우 제작자가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것저것]시작프로그램 등록하기 응용프로그램을 시작프로그램으로 등록하기 위한 방법 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시작 프로그램 폴더 내부에 프로그램이 존재해야 하므로 시작 프로그램 폴더를 열어줍니다. 해당 폴더로 들어가는 방법은 Win + R 키를 입력한 후 shell:startup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줍니다. 다음과 같이 폴더가 나타나면 시작프로그램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실행파일을 해당 폴더로 이동시켜 줍니다. 프로그램을 이동할 때 평소와 같은 드래그앤 드랍이 아닌 파일을 마우스로 우클릭 후 드래그앤 드랍해주게 되면 위 사진과 같이 '여기에 바로가기 만들기(s)' 항목이 나타나는데 이 항목을 클릭하여 시작프로그램으로 만들 항목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그 후 위 사진에서처럼 Win버튼을 클릭후 설정 버튼을 클..
[ZenBook]젠북 듀오 잠금 화면 해제 시 창 이동에 관하여..(1) - 화면 고정 방법 안녕하세요. 이번에 아수스의 젠북 듀오 노트북 광고 영상들을 보다가 멀티 디스플레이에 반해서 'ASUS 젠북듀오 UX481FL-BM062T 노트북/듀얼스크린/인텔10세대i5/16GB램/NVMe512' 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구매 후 해당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역시 멀티디스플레이의 장점이 많았지만 해당 노트북에서 단점 또한 몇가지 느꼈습니다.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은 잠금 화면에서 다시 노트북을 켜게 되면 노트북에 배치해둔 창 들이 제 위치를 찾지 못하는 점이 가장 큰 단점으로 느껴졌습니다. 또한, 해당 노트북에 추가 모니터를 더 연결하는 경우 해당 문제는 더 심하게 느껴졌습니다. 해당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시도를 해보고 그 시도를 통해 알게된 점 및 해결 방법을 정리하기 위해 블로그 글을 올..
[React] Props를 통한 부모 컴포넌트에서 값 넘기기 Props는 컴포넌트간에 값을 교환하기 위한 방법 입니다.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값을 전달하는것이 가장 기본적인 사용 방법으로 컴포넌트를 활용하여 화면을 표현하는 React에서는 아주 중요한 문법중 하나입니다. 일단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값을 넘기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값을 넘기는 방법은 클래스형 컴포넌트인가 아니면 함수형 컴포넌트인가에 따라서 여러가지 방식으로 나뉘게 됩니다. 먼저 자식 컴포넌트가 함수형 컴포넌트인 경우에 값을 가져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함수형 컴포넌트 부모 컴포넌트의 경우에는 함수형이든 클래스형이든 큰 차이가 없어서 부모 컴포넌트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로만 가정 하고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React] 함수형 컴포넌트와 클래스형 컴포넌트 리액트에서 컴포넌트를 선언하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함수형 컴포넌트 이고, 두번째는 클래스형 컴포넌트 입니다. 함수형 컴포넌트의 형태는 function App() { const test = ""; return {test} } 위와 같고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const test = ""; return {test}; } } 언뜻 보기에는 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둘 사이에는 특징 및 몇가지 장단점이 존재하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함수형 컴포넌트 - 클래스형 컴포넌트에 비해 선언하기가 편하다.- 메모리 자원을 클래스형 컴포넌트에 비해서 덜 차지한다.- 빌드 후 배포시에 결과물의 크기가 작다...
[MSSQL]DB 테이블 스키마 스크립트 파일 생성하기 1.SQL SERVER 2014 MANAGEMENT 실행 [시작] 버튼을 클릭 후에 SQL Server 2014 Management studio 를 실행시켜줍니다. * 해당 프로그램이 바로 보이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및 파일 검색] 에 SQL Server를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2.스크립트 파일 생성하기 1) ‘SQL Server 2014 Management studio’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서버에 연결해줍니다. * 서버 유형 및 인증 모드에 상관 없이 스크립트를 생성하고자 하는 DB의 서버에 연결합니다. 2) 촤측 화면에 [개체 탐색기]가 생성되면 해당 ‘데이터 베이스’ 폴더를 펼친 후 스크립트 생성을 원하는 테이블을 우클릭 합니다. 3) 우클릭 후 [태스크(T)] > [스크립트 생성(E)..] 탭을..
[Mac OS][Linux] 맥 터미널에서 SSH로 리눅스 서버 원격 접속하기 맥의 터미널 프로그램 에서 리눅스 서버에 SSH를 이용해서 원격 접속 하기위해서는 원격접속용 서버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그리고 원격 접속할 IP와 포트정보가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 SSH 명령어를 사용하여 접속합니다. 일단 접속을 위한 환경은 모두 구축되어있다는 가정하에 접속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명령어 한줄로 접속이 가능한데 명령어는 ssh [접속할 ID]@[접속할IP] -p [접속할 포트] 입니다. 예를 들어서 와 같은 형태입니다. 그 후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창이 나타나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리눅스 원격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게 됩니다.